출산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과정의 문제, 직후의 문제, 조산과 미숙아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출산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_과정의 문제
난산은 태아가 산도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이상이 생겨 분만이 순조롭게 진행되지 않는 경우로, 난산의 원인은 개별적인 상황에 따라 매우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전치태반, 태반조기박리, 조기파수, 자궁파열 등이 있다. 전치태반은 구조적인 문제로 태반이 태아보다 자궁 입구 가까이에 위치하여 자궁입구를 막고 있는 것으로 정상분만이 어렵기 때문에 제왕절개를 해야 한다. 태반조기박리는 미처 아기가 태어나기도 전에 태반이 자궁벽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으로 곧바로 출산을 유도하지 못하면 자궁에 많은 출혈이 있어서 태아사망률도 높고 산모에게 치명적이다. 조기파수는 비교적 많이 발생하는 상황으로 출산이 진행되기 이전에 양막이 터져 양수가 일찍 나오는 현상이다. 이 상황에서도 곧바로 출산이 일어나지 않으면 태아가 감염되거나 질식사할 위험이 있다. 자궁파열은 출산과정 중 자궁수축을 견디지 못하고 자궁이 파열되는 경우로 태아사망률이 높고 산모는 출혈이 심하므로 서둘러 수술하지 않으면 생명이 위험하다. 주로 이전에 제왕절개 등 자궁을 절개하는 수술을 경험했거나, 자궁벽에 상처가 잘 아물지 않았거나, 아기가 머리를 가로로 하고 누워있는 자세로 태어나려고 할 때 자궁파열이 일어날 수 있다.
직후의 문제 : 산소결핍
정상적 출산과정을 거쳐 태어난 아기들은 출산 직후 스스로 호흡을 하는 방법을 터득한다. 그러나 모체를 통한 산소공급이 중단된 후 아기가 스스로 호흡을 못하거나 혹은 출산 중 탯줄이 꼬여서 산소공급이 원활하게 되지 못하는 경우를 산소결핍이라고 한다. 비는 약 20%의 아기들이 출산 중 어느 정도 산소결핍을 경험하지만 이를 쉽게 극복할 수 있다고 하였다. 예컨대, 가벼운 산소결핍증을 경험한 유아는 3세까지는 운동발달이나 지적 발달이 평균 이하지만, 정상아와의 차이가 점점 작아져서 7세가 되면 거의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산소결핍 상태가 너무 오래 경과되어 많은 신경세포가 손상되면 영구적인 뇌손상이나 사망 등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조산과 미숙아
조산은 임신 기간을 미처 채우지 못하고 아기가 태어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임신 28주에서 37주 사이에 아기가 태어나는 경우를 말한다. 조산인 경우에는 대체로 아기의 체중이 2.5kg 미만인 미숙아다. 임신 40주를 다 채운 신생아도 2.5kg 미만이면 미숙아로 간주한다. 임신 기간이 28주 이하이거나 신생아의 무게가 1.5kg 미만인 경우 신생아의 생존가능성이 낮은 편이다. 조산이나 미숙아의 출산은 대체로 산모의 영양부족이나 흡연, 음주, 약물복용, 생식기관 미숙 등의 원인에 의하여 발생하므로 정기적인 검진과 식사 및 체중조절, 과로나 무리를 피하는 임신기의 건강관리를 통하여 예방할 수 있다. 조산의 경우 가장 큰 문제는 신체적 성숙이 이루어지기 전에 세상에 태어난 미숙아들에게 호흡장애 증후군과 뇌출혈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호흡장애 증후군은 신체에서 폐를 보호해 주는 물질을 생성하지 못한 결과 호흡이 불규칙하거나 호흡이 정지되는 현상을 말하는데,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숙아를 출생 직후 곧바로 보육기에 넣어 스스로 원활하게 호흡할 수 있을 때까지 온도와 산소량을 조절한 환경에서 보호한다. 대부분의 미숙아는 성장하면서 정상아보다 느릴 수는 있으나 궁극적으로 정상 발달을 해 나간다. 단 초기 문제의 심각성에 따라 자라면서 느린 심장박동, 환경자극에의 예민함, 잔병치례, 언어 및 운동발달 지체, 학습장애를 보이기도 한다. 또한 출산 직후 보육기에서 생활을 했기 때문에 초기 모자격리를 경험하여 종종 어머니와의 애착형성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조산의 장기적 효과는 임신 기간, 출생 시 체중, 출생 후 관리, 아동기 동안의 환경의 질에 의하여 좌우된다는 연구결과들이 보고되고 있어 출산 후 적절한 환경적 중재에 의하여 조산의 장기적 후유증을 극복할 수 있다. 그 밖에 출산과 관련된 문제로 예정일을 2주 이상 지나도 출산징후가 없는 만산, 양수가 너무 많아져서 문제가 되는 양수과다증 등이 있다.
'아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아기 신체발달_신체적 성장, 운동기능 발달 (0) | 2023.01.22 |
---|---|
신생아 반사행동 _ 생존반사, 비생존반사 (0) | 2023.01.15 |
출산_출산 징후, 출산의 과정, 출산 방법 (0) | 2023.01.13 |
태내발달이상_유전적 이상, 환경적 이상 (0) | 2023.01.12 |
태내발단단계_발아기, 배아기, 태아기 (0) | 2023.01.11 |
댓글